1.10.(수) 모각코
이전에 했던 요구사항에 맞춰서 이번에는 MVC패턴을 적용하여 코드를 수정하는 과정을 진행하기로했다.
MVC패턴에 대해 공부를 해왔지만, 아직 숙련도가 많이 부족하고, 개념에 대한 이해도 떨어지는 것 같다.
그래서 먼저, MVC패턴에 대해서 다시 한번 공부해본다.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
먼저, MVC 패턴이 생겨난 개요를 알면
MVC 패턴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JSP와 서블릿만을 이용하여 개발을 하였다.
하나의 서블릿이나 JSP만으로 비즈니스 로직과 뷰 렌더링까지 모두 처리하게 되면, 너무 많은 역할을 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해야할 때도 해당 코드를 수정하고, UI를 변경하는 경우도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해당 코드를 손대야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MVC 패턴이 생겼다.
그럼 이제 MVC를 알아 보겠다.
Controller : HTTP 요청을 받아서 파라미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한다. 그리고 뷰에 전달할 결과 데이터를 조회해서 모델에 담는다.
Model : 뷰에 출력할 데이터를 담아둔다. 뷰가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모델에 담아서 전달해주는 덕분에 뷰는 비즈니스 로직이나 데이터 접근을 몰라도 되고, 화면을 렌더링 하는 일만 집중할 수 있다.
View : 모델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사용해서 화면에 보이는 것을 집중한다.
Controller에 비즈니스 로직을 둘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런 경우 Controller의 역할이 많아져서 일반적으로는 비즈니스 로직은 Service 계층을 별도로 만들어서 처리한다.
이런 형태로 생각을 했다.
그래서 이를 저번에 했던 RacingCar코드를 refactoring하면서 연습해보았다.
https://github.com/juntae6942/java-racingcar/tree/step2
GitHub - juntae6942/java-racingcar
Contribute to juntae6942/java-racingca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